JavaScript

[JavaScript] - JavaScript (타입)

2023. 2. 20. 22:44
목차
  1. ✍️  Number 타입
  2. ⭐️  typeof 연산자
  3.  
  4. ⭐️  Math 내장 객체
  5.  
  6. ✍️  String 타입
  7. ⭐️  문자열의 length 속성
  8.  
  9. ⭐️  문자열 주요 메서드
  10. ✍️  Boolean 타입
  11.  
  12. ⭐️  비교연산자(comparison operator)
  13. ⭐️  논리연산자(logical operator)

✍️  Number 타입

JavaScript의 여러 데이터 타입 중 Number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숫자를 자바스크립트에서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. 정수(integer)와 실수(float)을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100; // 정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100; // 음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100.123; // 실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 

⭐️  typeof 연산자

typeof 연산자로 해당 값이 숫자 타입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typeof 100; // 'number'
typeof -100; // 'number'
typeof 100.123; // 'number'

 

⭐️  Math 내장 객체

  • Math.floor(): 괄호 안의 숫자를 내림하여 반환합니다.
  • Math.ceil(): 괄호 안의 숫자를 올림하여 반환합니다.
  • Math.round(): 괄호 안의 숫자를 반올림하여 반환합니다.
  • Math.abs(): 괄호 안의 숫자의 절대값을 반환합니다.
  • Math.sqrt(): 괄호 안의 숫자의 루트값을 반환합니다.
  • Math.pow() : 괄호 안의 첫 번째 숫자를 밑, 두 번째 숫자를 지수인 숫자를 반환합니다.
Math.floor(100.621); // 100
Math.ceil(100.621);  // 101
Math.round(100.621); // 101
Math.round(100.421); // 100
Math.abs(-100); // 100
Math.abs(100); // 100
Math.sqrt(4); // 2
Math.sqrt(2); // 1.4142135623730951
Math.pow(2, 5); // 32

 

✍️  String 타입

JavaScript 데이터 타입 String(문자열)은 인간의 언어, 자연어를 JavaScript에서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. 따옴표(’), 쌍따옴표(”), 백틱(`)으로 감싸면 됩니다.

 

+ 로 문자열을 이어붙일 수 있습니다. 문자열과 문자열을 이어붙일 때의 + 는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써 쓰입니다. 다른 타입과 이어붙이려고 하면 모두 문자열로 변합니다.

 

⭐️  문자열의 length 속성

문자열의 length 속성을 이용하여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문자열 값에 .length 를 붙이면 됩니다.

 

console.log('欢迎你'.length); // 3
console.log('최초의 JavaScript는 Netscape의 Brendan Eich에 의해 만들었다.'.length); // 48

 

⭐️  문자열 주요 메서드

  • toLowerCase() :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경합니다.
  • toUpperCase() :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경합니다.
  • concat() : 문자열 연결 연산자 + 처럼 문자열을 이어붙일 수 있습니다.
  • slice() : 문자열의 일부를 자를 수 있습니다.
'HELLO WORLD'.toLowerCase(); // 'hello world'
'hello world'.toUpperCase(); // 'HELLO WORLD'
'hello '.concat('world'); // 'hello world'
'hello world'.slice(0, 5); // 'hello'

 

✍️  Boolean 타입

Boolean(불리언)은 사실 관계를 구분하기 위한 타입입니다. 불리언 타입의 값은 true 혹은 false 둘 중 하나입니다.

true;
false;

 

⭐️  비교연산자(comparison operator)

불리언은 비교연산자(comparison operator)로 두 값이 같은지 다른지를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.

 

⭐️  논리연산자(logical operator)

논리연산자(logical operator)로 두 값 간의 논리 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script]콜백함수와 비동기 처리 - Promise  (0) 2023.03.21
[Javascript] 콜백함수와 비동기 처리 part1  (1) 2023.03.21
[JavaScript] - 프로토타입과 클래스를 알아보자!  (0) 2023.03.15
[JavaScript] -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란?  (0) 2023.03.15
[JavaScript] - JavaScript 개념!  (0) 2023.02.20
  1. ✍️  Number 타입
  2. ⭐️  typeof 연산자
  3.  
  4. ⭐️  Math 내장 객체
  5.  
  6. ✍️  String 타입
  7. ⭐️  문자열의 length 속성
  8.  
  9. ⭐️  문자열 주요 메서드
  10. ✍️  Boolean 타입
  11.  
  12. ⭐️  비교연산자(comparison operator)
  13. ⭐️  논리연산자(logical operator)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Javascript] 콜백함수와 비동기 처리 part1
  • [JavaScript] - 프로토타입과 클래스를 알아보자!
  • [JavaScript] -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란?
  • [JavaScript] - JavaScript 개념!
형일
형일
형일
코딩일지
형일
전체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3)
    • 코드스테이츠 (20)
    • JavaScript (8)
    • React (10)
    • WEB (5)
    • Git (3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형일
[JavaScript] - JavaScript (타입)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